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입차량 구인구직, 자꾸 '차 사라'는 이유? 장단점 총정리

by ajlove79 2025. 7. 16.
728x90

지입알바

🚛 지입차량 구인구직, 자꾸 '차 사라'는 이유? 장단점 총정리


📦 “운전 알바 알아봤는데 자꾸 차를 사래요?”

요즘 구인 사이트나 택배·운송 관련 커뮤니티에서 지입차량 기사 구인 글을 보면 꼭 따라붙는 말이 있죠.

“○○톤 지입차 매입 시 고정노선 바로 투입 가능합니다.”
“차량은 본인 명의로 구입하셔야 합니다.”
“초기 비용은 있지만 수익 보장됩니다.”

많은 분들이 일을 찾으러 갔다가 차량 매입 상담으로 흘러가 당황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지입차량 매입 유도, 과연 나쁜 걸까요? 아니면 당연한 구조일까요?


🚚 지입차란 무엇인가요?

지입차량이란, 본인이 차량을 소유하고 특정 운송회사에 소속만 된 상태로 운행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회사 간판을 달고 일은 하지만 차량은 내 것이죠.

  • 회사는 일감을 제공하고
  • 기사는 자기 차량으로 운송
  • 일감에 따라 고정 수익 가능

그래서 지입 구인글은 대부분 "차량 구매 전제"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지입차 매입의 장점

  1. 고정 일감 + 높은 수익 가능성
    • 배송 노선이 고정이면 월 400만~600만 원 이상 수익도 가능
    • 초보자도 일정 수익 확보 가능 (단, 일감 진짜일 때)
  2. 내 차니까 자유도 높음
    • 운행시간, 차량관리 등 자율성 존재
    • 퇴사해도 차량은 내 자산으로 남음
  3. 장기적으로 자산 형성
    • 리스/할부 끝나면 차량은 내 것
    • 감가 있더라도 재판매 가능
  4. 특정 업종은 지입이 표준
    • 택배, 공산품 운송, 중장비, 식자재 배송 등은 대부분 지입 구조

❌ 지입차 매입의 단점

  1. 초기 비용 부담 큼
    • 보통 차량값 2,000만~5,000만 원 필요
    • 리스/할부 포함되더라도 선납금, 보증금, 유류비, 보험료 등 초기비용 과다
  2. 허위 일감 많음
    • “투입 즉시 월 700만 원 보장” → 막상 들어가면 건당 단가 낮거나 일감 적음
    • 미끼 매물, 허위 노선, 불투명 수수료 구조 주의
  3. 차량 유지비 부담
    • 차량 본인 소유이므로 수리, 보험, 검사 등 전부 본인 부담
  4. 지입료(관리비) 발생
    • 매달 일정액 회사에 관리비 명목으로 지출 (통상 15~30만 원 수준)
  5. 노선 변경 불가
    • 고정노선의 경우 업무 만족도 낮으면 쉽게 교체 불가

🔍 실제 사례 요약

사례내용
1 "차량 매입만 하면 바로 투입 가능" → 계약 후 일감 미배정
2 "월 800 수익 가능" 광고 → 유류비·지입료 빼면 실수령 350
3 일감 있다 했지만, 기존 기사 못 빠져서 대기만 2주
 

계약 전 실노선 확인, 실제 운행 기사 통화 등 꼼꼼한 확인 필요!


🧩 정리: ‘지입차 매입 유도’는 불법이 아닌 구조지만…

  • 지입 일감의 구조상 차량 소유가 전제되다 보니
    구인과 동시에 매입 유도가 자연스럽게 따라옴
  • 하지만 허위 광고, 실제 일감 미확보, 과장 수익 등에 속으면
    차량만 사고 부채 + 손해만 보는 상황 발생

✅ 지입 알바, 이렇게 접근하세요!

  1. 투입 전 노선/일감 계약서 확인 필수
  2. 구인 업체 후기도 검색 (블라인드, 카페, 커뮤니티 등)
  3. 차량 매입보다 렌탈/리스 시범 운행 먼저 추천
  4. 일할 회사와 차량 구매처가 같다면 더더욱 주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