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최근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K-패스 정액권'**은 정부가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하는 새로운 교통카드 정책입니다. 기존의 환급형 K-패스와 달리, 정해진 금액만 내면 전국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래에 'K-패스 정액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1. 'K-패스 정액권'은 무엇인가요?
'K-패스 정액권'은 기존 K-패스(환급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새로운 교통카드입니다.
- 기존 K-패스(환급형):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용 금액의 일정 비율(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을 환급해 주는 방식입니다.
- K-패스 정액권(무제한): 월 5~6만 원의 정해진 금액만 지불하면, 월 이용 횟수에 관계없이 전국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2. 핵심 특징과 이용 대상
- 가격: 월 5만~6만 원대의 정액 요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 혜택: 일반인뿐만 아니라 청년, 저소득층에게는 추가적인 할인 혜택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 사용 범위: 전국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는 물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까지 포함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는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가 서울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과 비교되는 큰 장점입니다.
3. 'K-패스 정액권'은 언제부터 사용 가능한가요?
현재 'K-패스 정액권'은 도입이 확정된 정책이며, 2025년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준비 중입니다. 정확한 시행 시기와 구체적인 요금, 이용 방식 등은 정부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정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현재는 기존의 환급형 K-패스만 이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정액권 출시 전까지는 기존 시스템을 활용해 대중교통비 절감 혜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